카테고리 없음

파스타 ( pasta) 요리

이인이 2025. 5. 29. 18:02


파스타 (  pasta )








파스타(이탈리아어: pasta)

이탈리아의 밀 식품

파스타(pasta)는 물과 듀럼밀 세몰리나  를 반죽하여 만드는 이탈리아의 면 요리와 이를 이용한 음식 메뉴 전반을 일컫는 말이다.


파스타는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긴 파스타는 스파게티, 짧은 파스타는 마카로니(macaroni)라고 부른다.

스파게티는 '끈', '실'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스파고(spago)의 작은말 스파 게토(spaghetto)의 복수형을 사용한 말로 이탈리아 말 그대로를 해석한 '작은 끈들'의미이다.


마카로니는 16세기 말경 이탈리아 남부지방 방언 마카로니에서 나온 말이다.

한마디로 스파게티와 마카로니를 같이 부르는 말이 파스타인 것이다.
 
둘 다 모두 이탈리아 남부지방 음식으로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 많이  먹었다.


이탈리아어 "파스타(pasta)"는 "너그 애미, "를 뜻하는 명사이다.

2세기경 그리스의 의사 갈레노스의 저서에는 밀가루와 물을 함께 혼합해서 만든 itrion이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다.

듀럼밀 세몰라에 물을 섞거나 밀가루에 달걀을 섞어 부풀리지 않고 반대기를 지어서 국수 등의 형태로 만든 음식이며, 삶거나 구워 먹는다.

이탈리아의 주식이며, 국민 음식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파스타는 그리스 신화에서 헤파이스토스가 파스타 제조 기구를 발명했다는 설과 기원전 5세기경에 이탈리아 중서부의 고대국가인 에트루리아족이 만들어 먹었다는 설 등 그 기원에 대해 아직까지 여러 가지 이설이 있다.

이탈리아 요리에서 파스타는 물에 삶은 다음 소스를 곁들여 내는 파스타 아시우타(이탈리아어: pasta asciutta), 수프 그릇에 국물과 함께 담아 내는 파스타 인 브로도(이탈리아어: pasta in brodo),

오븐에 구워 조리하는 파스타 알 포르노(이탈리아어: pasta al forno) 등의 방식으로 조리한다.

파스타 샐러드를 먹기도 한다.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페스토, 라구 볼로녜세 등을 중부에서는 아마트리차나, 카르보나라 등을, 남부에서는 아라비아타나 알리오 올리오 등을 즐겨 먹는다.

파스타 소스에 쓰는 육수로는 닭육수와 조개육수가 흔히 사용된다.

허브나 향신료는 파스타에 풍미를 더해주고 여러 가지 잡냄새를 제거해주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차이브, 딜, 처빌, 애플민트, 파슬리, 계피, 페페론치노, 정향, 오레가노, 통후추, 피클링 스파이스, 쿠민, 육두구, 로즈메리, 타임, 마조람, 바질 등이 대표적이다.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식재료로 현지에서 자주 먹으며 위상은 한국의 자장면이랑 비슷하다.

특히 본고장인 시칠리아 사람들은 거의 주식으로 먹는다.

이탈리아계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건너가 음식점을 차려 생계를 유지하는 등 파스타가 다른 지역에도 전파되면서 스파게티, 피자 같은 이탈리아 요리들이 전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현존하는 파스타 면의 종류는 수백가지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스파게티와 마카로니 같은 것들 뿐만 아니라 지역마다 지역 특색의 파스타 면이 존재하고 똑같은 파스타 면이라도 크기와 모양에 따라 이름을 달리 부르고


또 지역에 따라서도 지역마다의 파스타 면을 부르는 명칭이 조금씩 다르기에 조금이라도 검색하고 알아보면 어마어마한 종류의 파스타 면과 명칭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파스타는 면으로 구분할 경우 크게 보면, 롱 파스타(스파게티, 카펠리니, 링귀네, 페투치네 등)와 숏 파스타(파르팔레, 푸실리, 마카로니, 펜네 등)


그리고 스터프트 파스타(주로 라자냐, 라비올리, 아뇰로티 등)  분류까지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소스나 재료에 따른 구별법도 있다.


듀럼밀도 품질 차이가 있기 때문에 듀럼밀 100%, 특히 이탈리아 산이라고 해서 반드시 고품질이라는 의미가 아니라고 한다.

듀럼밀 자체가 빵밀이 잘 안크는 곳에서 키우는 일종의 대체 작물이며 밀농사가 훨씬 잘 되는 곳은 얼마든지 있다.


미국에도 이탈리아계들이 파스타를 만든지 오래되었고, 듀럼밀 농사도 많이 짓는다. 특히 사막 지역의 듀럼밀은 단백질 비율이 높아 식감이 좋다고 한다.


이탈리아 브랜드 중에 미국과 캐나다산 듀럼밀을 쓰는 곳들이 있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대체로 파스타는 고급 레스토랑에서나 나올 법한 요리류가 아닌 간편하게 한 끼 때우는 성격이 강한 짜장면, 짬뽕, 라멘 등과 같은 식사류에 속한다.


파스타도 어디까지나 밀가루 음식이고, 1인분보다 많이 먹거나 살이 잘 찌는 소스, 토핑을 곁들인다면 이러한 장점은 퇴색된다고 봐도 좋다.

면이기 때문에 치즈, 새우 등 동물성 단백질을 같이 섭취해야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가능하다.


모차렐라 치즈는 대용량으로 사면 저렴하면서도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생각보다 적은 편이라 두고두고 냉동실에 박아두고 쓴다.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어 수면에 도움이 되고, 트립토판이 함유되어 있어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

면 요리가 인기가 좋은 한국에서는 피자와 함께 서양 요리의 대표격으로 자리잡았으며 대형 식품업계에서도 여러 가지 소스를 판매할 정도로 상당히 보편화되었다.



요리  관련  말


One cannot think well, love well, sleep well, if one has not dined well." - Virginia Woolf, English writer
사람은 식사를 잘 하지 않으면 생각도 제대로 할 수 없으며, 사랑도 잘 할 수 없고 잠도 잘 이루지 못한다." - 버지니아 울프, 영국 작가
 

"La comida es el lenguaje del amor." - Federico Fellini, director italiano 
해석: "음식은 사랑의 언어이다." - 페데리코 펠리니, 이탈리아 
 
 
"La buona cucina fa buon sangue." - Proverbio italiano 
좋은 음식이 좋은 혈액을 만든다." - 이탈리아 속담

 
"Dis-moi ce que tu manges, je te dirai ce que tu es." - Anthelme Brillat-Savarin, gastronome français 
네가 무엇을 먹느냐 말해 보렴, 그러면 네가 무엇인지 말해 주겠다." - 안텔므 브리야-사바랭, 프랑스 식도락가
 
 
"배고픈데 명장 없다." - 한국 속담
 
 
"食べることは心の和をつくる。” – 菜穂子 
식사는 마음의 평화를 만든다." - 나오키, 일본 요리 전문가
 
 
"Cozinhar é uma arte e comer é um prazer." - Lídia Jorge, escritora portuguesa 
요리는 예술이고 먹는 것은 즐거움이다." - 리디아 호르헤, 포르투갈 작가
 

"Еда должна быть сытной, а разговоры о ней — безграничными." - Александр Солженицын, русский писатель 
음식은 포식한 음식이어야 하고, 그에 대한 이야기는 끝없어야 한다."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러시아 작가
 
 
"饭来张口,衣来伸手。" – 陆游 
밥이 오면 입을 벌리고, 옷이 오면 손을 내밀어라." - 루유, 중국 시인
 
 
"Yemek yemeyi bilmeyen, yaşamın neşesini bilemez." - Cemal Süreya, Türk şair 
식사하는 것을 몰라도 인생의 즐거움을 알 수 없다." - 제말 슈레야, 터키 시인
 
 
"खाना खाने की कला है और वह जीने की कला सीखता है." - Ruth Reichl 
음식 먹기는 예술이며, 그것은 삶의 예술을 배우는 것과 같습니다." - 루스 라이히, 음식 칼럼니스트

 
"Eten is de brandstof van het leven." - Onbekende auteur 
음식은 인생의 연료이다." - 알려지지 않은 저자
 

"Att äta gott och dricka gott är en del av att leva gott." - Marie Modiano, fransk sångerska och författare 
잘 먹고 잘 마시는 것은 잘 사는 일생의 일부다." - 마리 모디아노, 프랑스 가수 및 작가
 
 
"Кращий шлях до людини – через шлунок." - П’єр Франсуа Лубомірський, український письменник 
사람의 마음을 얻으려면 위를 채우는 것이 최선의 길이다." - 피에르 프랑수아 루보미르 수정, 우크라이나 작가
 

"Храна је лек, а лек је храна." - Хипократ 
음식은 약이고 약은 음식이다." - 히포크라테스, 고대 그리스 의사
 
 
"Bucătarul adevărat învaţă o viaţă întreagă." - Viorel Copolovici, bucătar român 
진정한 요리사는 평생을 배운다." - 비오렐 코폴로비치, 루마니아 요리사
 
 
"Lekker kos maak `n mens se hart gelukkig." - Michael Olivier, Suid-Afrikaanse kok 
맛있는 음식은 사람의 마음을 행복하게 한다." - 마이클 올리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리사

 
"Një pëlhurë e bardhë në tavolinë, një pëlhurë e zi në mendje." - Ivo Vasiljev, scriitor albanez 
식탁 위에 하얀 천, 마음속에 검은 천." - 이보 바실리예프, 알바니아 작가
 
 
"Hvað þú nærð ekki hálfum bita, nærðu engu nógu marga átta." - Bolludagurinn, íslenskt málsháttakvæði 
첫 입이 다 되지 않았다면, 모든 것을 즐길 수 없다." - 볼루다구린, 아이슬란드 시



[  타   문헌   문서   참고  ]